부동산 개발론에 대해서 한번 간략하게 알아보도록 하자. 부동산 개발은 토지와 건축물을 결합하여 실제로 운영할 수 있는 부동산 상품을 생산하고 넓은 뜻으로는 관리까지 포함한다.
이러한 경제행위의 주체는 부동산 개발업자라고 하며 부동산의 개발은 시행을 말하는 것으로 시공과는 구별되고 있다. 즉 부동산 개발은 시행을 의미하는 것이지 시공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.
부동산 개발 주체
- 공적주체 : 국가, 자방자치단체, LH, 지방공사 등
- 민간부문 : 토지소유자조합, 민간기업 등
- 제3섹터 : 민관합동개발방식, 사회간접자본 개발시 민간 자본 도입
부동산 개발의 위험
부동산의 개발 위험은 법률적위험과 시장위험, 비용위험으로 구분을 해볼 수 있는데 각 위험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.
- 법률적 위험 : 부동산 개발에는 여러가지의 법적 위험이 따르게 되는데, 이러한 공법 및 사법상 부담하는 위험을 법률적 위험이라고 한다. 예를들어 용도지역지구제, 건축 인허가 등이 이에 해당한다.
- 시장위험 : 시장은 끊임없이 변화를 하고 있는데 이러한 시장 상황의 변화로 개발된 부동산이 상품이 분양이 잘 되지 않거나 임대 되지 않을 수도 있다.
- 비용위험 : 공사기간 중 건축자재나 인건비의 상승이 심해지는 경우 수익성에 악영향을 끼친다.
타당성분석
- 지역경제분석
- 시장분석
- 시장성분석
- 투자분석